top of page

첫 달 이자 부담을 덜어주는, '거치기간' 활용법



거치기간, 왜 중요한가요?


대출을 하고 돈을 갚는 방식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원금 균등 상환

빌린 금액을 매달 일정한 금액으로 나눠 갚아나가면서, 매달 줄어드는 빌린 금액에 대한 이자를 갚는 방식


2. 원리금 균등 상환

빌린 금액과 총 이자를 합한 금액을 똑같이 나누어 매달 일정한 금액을 갚는 방식


3. 만기 일시상환

빌린 기간 동안은 이자만 갚다가 돈을 빌리기로 한 기간이 끝났을 때 원금을 한꺼번에 갚는 방식


원금균등상환-원리금균등상환-만기일시상환-차이

이자만 갚아도 되는 만기 일시 상환과 달리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아 나가야 하는 원금 균등과 원리금 균등은 당장 첫 달부터 내야 하는 금액이 꽤 큽니다.

예를 들어 1억 원을 4% 금리로 5년간 빌린다고 가정하고 첫 달에 내야 하는 금액을 계산해 볼까요?


원금균등 상환은 약 310만 원, 원리금 균등 상환은 약 294만원, 만기 일시상환은 약 33 만원이 됩니다. 빌린 돈이 클수록 금액 차이도 더 커집니다.


그렇다고 돈을 빌린 이후 첫 달 이자를 적게 내기 위해 만기 일시상환 방식을 택하면 결과적으로는 가장 많은 금액의 이자를 부담하게 됩니다.

대출이자총액에-따라-달라지는-상환방법


첫 달의 부담은 줄이되 총 이자를 적게 내는 방법은?


첫 달의 부담은 줄이면서, 총 이자도 아끼는 방법, 거치기간을 활용하면 됩니다. 거치기간이란 대출을 받은 후 원금을 갚지 않고 이자만 지불하는 기간을 뜻합니다.


거치기간에-따라-달라지는-상환방법

거치기간을 활용해 돈을 빌린 이후 이자만 내는 기간을 정하고, 그 기간 그 이후에는 원금 균등, 원리금 균등 중 하나를 택해 원금과 같이 이자를 상환하는 거죠. 이를 통해 초기 부담금이 적은 만기 일시상환의 이점과 대출 만기시점에 목돈을 갚지 않아도 되는 원금 균등, 원리금 균등의 장점을 같이 누릴 수 있습니다.


거치기간 장점

·대출 실행 이후 초기의 자금 운용에 여유가 생김

·거치기간을 계획에 맞게 설정할 수 있음


거치기간 단점

·거치기간이 끝나는 시점 이후의 부담금이 대폭 증가함

·거치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부담해야 하는 총 이자가 증가함 (거치기간이 상환기간에 포함되지 않는 상품의 경우)

·거치기간이 끝나는 시점에 다시 대출 조건 확인, 심사가 진행되므로 신용등급의 상태에 따라 대출 조건이 변경될 수 있음


거치기간도 상환 방식의 결정과 마찬가지로 본인의 상황에 알맞은 선택이 중요합니다. 대출상품에 따라 거치기간의 유무, 가능한 기간이 다르므로 대출을 할 때, 거치기간과 대출 상환 방식을 확인하는 습관, 잊지 마세요!



대출-이자-계산-CTA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