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주식-유상증자-무상증자-투자-거래소-기업주식


주식을 하는 사람들은 기업의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그중에서도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는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굉장히 핫한 이슈 중에 하나이죠. 하지만 막상 기업의 주가창을 보면 같은 유(무)상증자라도 어떤 기업은 주가가 오르고, 어떤 기업은 내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유(무)상증자가 기업에게 좋은 소식인지 나쁜 소식인지 투자자는 헷갈리기 일쑤입니다.


오늘은 투자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무엇인지, 그리고 각 유형에 따라 주가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한 번에 알아보겠습니다.

증자란, 기업이 자본금을 늘리는 행위를 말합니다.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 새롭게 주식 발행하는 방법을 이용하는데요, 이때 주식을 돈을 받고 판매하면 ‘유상’증자, 기존 주주에게 공짜로 배부하면 ‘무상’증자라고 부릅니다. 일단 이 개념을 기본으로 깔고 각각의 증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유상증자는 무엇일까?


기업이 운영을 하다 보면 다양한 이유로 돈이 부족해질 때가 있습니다. 이때 자금을 끌어오기 위해 크게 세 가지 방식을 이용하죠.


1) 기존 주주에게 배정하는 '주주 배정 방식'

2) 불특정 다수에게 청약을 모집하는 '일반 공모 방식'

3) 기관, 기업, 은행 등 특정 3자에게 비공개로 배정하는 '제 3자 배정 방식'


유상증자 기관, 기업, 은행 등 특정 3자에게 비공개로 배정하는 '제 3자 배정 방식' 을 뜻합니다. 이때 새롭게 발행되는 주식은 신(新)주, 기존에 있었던 주식은 구(舊)주라고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구주를 가지고 있던 주주들에게 유상증자는 나쁜 소식입니다. 기업의 가치인 시가총액은 변하지 않고 주식만 더 발행되니, 주주가 주식을 얼마큼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분율이 떨어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기존 주주가 불이익을 느끼는 바와 다르게 유상증자 소식에 따라 주가는 오르기도, 내리기도 합니다. 바로 유상증자를 통한 새로운 주식이 누구에게 배정되는지, 그리고 유상증자의 근본적인 목적이 무엇인지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이죠.

유상증자의 배정 방식


1)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 : 신규 투자 또는 경영 확대를 위한 유상증자

2)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 : 경영 악화를 막기 위한 유상증자


주주 배정 방식은 기존 주주에게 신주를 가져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신주를 사고 싶다면 신주인수권 기간에 맞추어 투자금을 넣고 추가로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기존 주주가 신주를 사고 싶어 하지 않는 경우, 남은 물량은 일반 공모 방식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일반 공모 방식은 기존 주주가 아닌 일반 투자자들에게 신주를 공개하는 방식입니다. 처음부터 일반 공모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 신주가 기존 주주에게 매력적이지 않아 자금 조달이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되어 기업에게 악재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3자 배정 방식은 기업이나 은행 등 일반 투자자가 아닌 대형 투자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방식입니다. 신주의 인수자를 미리 정하여 비공개로 배정이 진행되므로 일반 투자자는 신주를 얻을 수 없죠. 이때 신주를 가져가는 주체가 유망한 기업이나 투자 기관인 경우 기업에게 큰 호재로 적용되기도 합니다.


유상증자 소식은 일반적으로 기업에게 나쁜 소식이지만, 기업의 전망이 굉장히 밝거나, 특히 유상증자의 목적이 신규 투자 확대를 위한 자금 확보인 경우 주가가 오르기도 합니다. 반대로 경영이 어려워 채무 상환을 위해 유상증자를 한다면, 주가는 당연히 내려가겠죠.


때문에 특정 기업의 유상증자 소식이 들려오면 반드시 유상증자로 모이는 자금의 ‘규모’와 그 자금이 어디에 쓰이는지 ‘목적’을 확인해야 합니다.


무상증자는 무엇일까?


무상증자는 새로 발행된 주식을 기존 주주에게 공짜로 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좀 더 자세히 풀어쓰자면 기업이 가지고 있던 여윳돈 중 일부를 주식으로 발행하여 자본금으로 넘기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의 배정방식


기업이 무상증자를 발표하면 기업 공시에 올라온 자료에서 기존 주주가 배정받는 신주 수가 얼마인지 알 수 있습니다. 만약 ‘1주 당 신주배정 주식수’에 1이 적혀 있는 경우, 기존에 1주를 가지고 있던 주주는 신주 1주를 추가로 받는 것이죠. 비례 배정이 원칙이기 때문에 100주를 가진 사람은 100주를 더 받게 됩니다.


그리고 무상증자는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것이므로 배정 기준일의 2일 전까지 해당 기업의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만 신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무상증자는 기업의 좋은 소식으로 여겨집니다. 그만큼 영업을 통해 얻은 이익이 많고 이를 자본금으로 이동시킬 만큼 재무구조가 탄탄하다고 받아들여지기 때문이죠. 그리고 신주가 배정되면 시가총액은 변하지 않고 주식 수만 늘어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주가가 하락하는 권리락이 발생합니다. 때문에 일반 투자자들의 종목 접근성이 높아지므로 거래가 활발해져 주가가 오르는데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은 매우 복합적인 요소가 얽혀 움직이기 때문에 모든 무상증자가 호재로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기업의 재무 건정성이 나빠 주가를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무상증자를 하거나, 무상증자와 함께 경영난 해결을 위한 유상증자까지 열리는 경우 기업의 악재로 받아들여져 주가가 폭락하기도 합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개념과 유형별 주가에 주는 영향까지 잘 보셨나요? 오늘 컨텐츠에서 보신 바와 같이 유상증자는 악재, 무상증자는 호재라고 딱 잘라 말할 수 없습니다. 만약 주식을 보유하고 있던 기업이나 관심 있는 기업의 유(무)상증자 이슈가 생겼다면, 반드시 신주를 받는 주체가 누구인지, 그리고 증자를 왜 하는 것인지, 또 앞으로의 기업 전망과 안정성이 긍정적인지 등을 모두 살펴봐야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나만의 호재, 악재 기준을 정하여 현명한 주식 투자를 해야겠죠!여러분이 더욱 탄탄하고 안정적인 재테크 활동 펼치시기를 바랍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