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과 주거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도와주는 정책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가 이달 15일 출시되었어요.
시중은행의 다른 적금상품과 비교했을 때 금리가 높고 비과세 혜택에 정부기여금까지 받을 수 있어 목돈 마련을 위한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죠.
오늘의 핀다위키는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 '청년도약계좌'란?
윤석열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이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5년 동안 적금을 부으면 정부의 기여금과 은행 이자, 비과세 혜택 등이 더해져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됐어요.
단,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건 소득 6천만원 이하까지고, 그 이상이면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어요. 정부 기여금은 납입금액과 소득수준에 따라 3∼6%가 지급되죠.
중도 해지 시에는 정부 기여금이나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는 만큼 '5년 만기'가 너무 부담스럽다는 의견도 있어요. 향후 자금 흐름 계획을 먼저 세워보고 각자에게 맞는 최선의 선택지가 무엇인지 판단하는 게 중요하겠죠?
📌 청년도약계좌 Q&A
✔️ 신청 대상은?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한 만 19~34세** 청년이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어요.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개인소득 6,000만원~7,500만원,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가입은 가능하지만 정부 기여금 지급 없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부여돼요.
✔️ 어떻게 자산 형성을 도와주나요?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납입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 기여금이 지원돼요. 여기에 은행 이자가 붙고,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어 만기 시 수령할 수 있어요.
✔️ 소득 우대금리 적용 조건은?
△총급여 2400만원 이하인 경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이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연말정산한 사업소득이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적용돼요.
✔️ 정부기여금은 어떻게 달라지나요?
아래 사진을 통해 개인소득에 따른 기여금 지급한도와 매칭비율을 확인하세요!
총급여 기준 4,800만원,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인 경우 월 40~60만원만 납입하더라도 정부 기여금을 수령할 수 있게 한도를 조정할 수 있어요.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총급여 2,400만원,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40만원(월 2.4만원)
총급여 3,600만원,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50만원(월 2.3만원)
총급여 4,800만원,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60만원(월 2.2만원)
총급여 6,000만원,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한도 70만원(월 2.1만원)
✔️ 어디서 신청하나요?
6월 15일부터 청년도약계좌 상품을 취급하는 아래 금융기관(사진 참조)에서 가입신청을 진행하면 소득심사, 유지심사를 거쳐 진행할 수 있어요. 은행별 금리를 보고 가장 유리한 조건을 비교해 보세요.
✔️ 다른 정책 상품과 중복 가입이 가능한가요?
청년희망적금 가입 중에는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 수 없으나 가입요건 확인은 가능합니다.
✔️ 핀다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써보고 자격요건과 만기 시 예상 금액을 알아보세요!
핀다의 '청년도약계좌 계산기'를 이용하면 내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자격이 있는지,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예상 총 금액이 얼마인지 쉽고 빠르게 계산해 볼 수 있어요!
아래 버튼을 눌러 핀다의 청년도약계좌 계산기를 써보세요.
⚠️계좌개설 여부는 서민금융진흥원의 소득요건 확인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