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전 세계 청년들 사이에서 ‘현금생활’이 유행이라고 해요. 캐시리스(비현금결제) 시대에 현금 열풍이라니, 이게 무슨 일인가 싶은데요. 소비 트렌드에서 이제는 문화로 자리 잡은 현금생활이 무엇인지 지금부터 알아볼게요!
고물가 시대 현금생활만이 살 길!
현금생활은 일정 액수의 현금만 사용하며 지내는 걸 뜻해요. 간편결제 시대에 역행하는 방식이지만, 지속되는 고물가에 눈에 보이는 소비로 지출을 줄이려는 것으로 보여요.
정말 절약이 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절약 효과가 있다고 해요! 실제 현금생활을 하는 분들 중 대부분이 카드생활 대비 지출을 50% 넘게 줄였다고 하는데요.
현금은 쓰고 남은 금액이 눈에 보이니, 불필요한 지출을 막고 소비 습관을 바로잡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많아요.
현금생활하는 법, 간단해요
생활비를 현금으로 인출한 다음 세부 예산을 나눠 사용하고, 남은 돈은 저축하면 되는데요. 아래에서 단계별로 자세히 살펴볼게요.
1️⃣ 나의 현금흐름 파악하고 생활비 정하기
월 수입과 고정지출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현금으로 사용할 생활비를 정해요. 예를 들어) 월 수입 200만원 - 고정지출 100만원 (월세/적금/보험/대출이자/통신 등) = 생활비 100만원 (일주일 예산 25만원)
Tip 나의 현금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최소 3개월 이상의 수입과 지출 내역을 확인해야 해요. ▶ 내 현금흐름 확인하기
2️⃣ 세부 예산 정하기
요일 또는 목적에 따라 지출 항목을 구분하고, 일주일 예산을 바탕으로 세부 예산을 정해요. 예를 들어) 일주일 예산 25만원 > 요일별 3만원/비상금 4만원 또는 목적별 식비 10만원/교통비 3만원/쇼핑 3만원/기타 9만원
Tip 예산은 현실적으로 정해야 해요. 처음부터 예산을 적게 잡으면 실패할 확률이 높으니, 비교적 여유롭게 정하고 이후 조정해 나가는 것을 추천드려요.
3️⃣ 정산하고 저축하기
하루 그리고 일주일 단위로 지출 내역을 정리하고, 남은 금액은 목적에 맞게 저축해요.
Tip 저축은 단기와 장기 또는 목적과 비목적으로 나누어 하는 것이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어요.
Q&A
Q1. 인터넷 결제 등 카드 사용이 필요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카드로 결제한 금액만큼 현금을 통장에 입금하면 돼요.
Q2. 예산을 초과하면 실패하는 건가요?
갑작스러운 경우를 대비해 늘 비상금을 빼놓는 게 좋아요. 만약 예산을 초과했다면 비상금이나 저축한 현금 등으로 대체하면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