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자금대출 알아보고 계신가요?
집값의 등락과 관계없이 목돈이 드는 주택 매매는 큰 부담으로 다가오죠. 이러한 이유로 전세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데요.
매매 가격만큼이나 높은 전세금 마련에 막막해하시는 분들을 위한 ‘전세자금대출’에 대해 핵심만 요약해 드릴게요.
💡이런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예요!
• 전세자금 마련을 고민하는 분
→ 전세자금의 최대 90% 대출이 가능해요.
• 매달 높은 금액의 월세를 지출하는 분
→ 월세보다 저렴하게 주거비를 해결할 수 있어요.
☑️ 전세자금대출이 무엇인가요?
전세금 마련에 필요한 자금을 금융기관에서 대출해 주는 제도예요.
전세자금대출은 주택이 아닌 보증서를 담보로 취급하기 때문에 보증기관의 보증서가 필요한데요. 한국주택금융공사(HF),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서울보증보험(SGI) 등의 보증기관에서 보증서를 발급해 주면 그 보증을 담보로 은행에서 돈을 빌려주는 거예요.
☑️ 전세자금대출의 종류가 궁금해요.
운영하는 곳에 따라 ‘정부∙지자체 전세자금대출’과 ‘금융권 전세자금대출’로 나눌 수 있어요.
1️⃣ 정부∙지자체 전세자금대출
정부∙지자체 전세자금대출은 ‘주택도시기금의 버팀목전세자금대출’과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안심대출’, ‘서울시의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등이 있는데요.
근로자와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마련된 상품으로 저렴한 금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에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로 확인해 보세요.
2️⃣ 금융권 전세자금대출
정부∙지자체 전세자금대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할 경우에는 금융권 전세자금대출을 고려할 수 있어요.
금융권 전세자금대출은 ‘제1금융권(우리, 신한, 국민 등)과 제2금융권(저축은행, 캐피탈 등)’ 상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1금융권은 2금융권 대비 금리가 낮지만 신용점수 등 충족해야 하는 조건이 더 많아요.
만약 1금융권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2금융권 이용 후 대환대출을 통해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어요.
금융권 전세자금대출의 경우 은행별로 대출 한도와 금리, 조건 등이 매우 달라서 꼼꼼히 비교 후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요. 자세한 내용은 전세대출 취급은행에 문의하시거나 핀다 ‘전월세대출 맞춤추천 서비스’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 금리 낮추는 방법, 신청 전 꼭 확인하세요!
1️⃣ ‘정부∙지자체 > 금융권 전세자금대출’ 순서로 확인해 보세요.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정부∙지자체 > 금융권 (1금융권 > 2금융권)’ 순서로 알아보는 것이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2️⃣ 금융권 대출은 ‘주거래 은행’을 이용하세요.
대부분의 은행에서는 ‘거래실적(신용카드 실적, 공과금 이체 등)’이 높은 고객에게 우대금리를 적용해 주기 때문에 금리 인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신청은 어디서 할 수 있나요?
전세자금대출은 상품에 따라 신청하는 곳이 다릅니다. 취급은행은 정부∙지자체의 경우 위의 표를 참고해 주시고, 금융권의 경우 주거래 은행 또는 1・2금융권에서 확인해 주세요.
• [주택도시기금] 버팀목전세자금대출: 기금e든든 홈페이지 또는 취급은행
•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안심대출: 취급은행
•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서울주거포털 홈페이지
• [금융권] 전세자금대출: 취급은행
📖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핀다위키 에디터의 금융용어 소개, 어떠셨나요? 전월세대출 상품을 직접 찾고 비교하기 어렵다면 핀다에게 맡기세요! 전국 모든 은행 상품 중 가장 좋은 조건의 전월세대출 상품을 찾아서 비교해 드릴게요.